내시 균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시 균형은 게임 이론에서 각 참여자가 다른 참여자의 전략을 알고, 자신의 전략을 변경하여 이익을 얻을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1938년 쿠르노의 과점 이론 분석에서 시작되어, 존 폰 노이만과 오스카 모르겐슈테른의 혼합 전략 개념 도입을 거쳐, 1951년 존 내시가 유한한 행동 집합을 가진 모든 게임에 대한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을 정의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내시 균형은 엄격, 약한 내시 균형, 부분 게임 완전 균형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죄수의 딜레마, 사슴 사냥과 같은 게임의 분석에 활용된다. 현실의 복잡성을 단순화하는 한계와 파레토 최적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경제 -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는 1951년 파리 조약을 통해 설립되어 석탄과 철강의 공동 시장을 창설하고, 초국가주의 원칙으로 경제 성장과 회원국 간의 전쟁 방지를 목표로 했다. - 고정점 - 도메인 이론
도메인 이론은 정보 조각과 부분 계산 결과로 해석되는 부분 순서 집합을 연구하여 정보 확장, 일관성 분석, 계산 과정의 수렴성 및 연속성을 형식화하는 분야로, 람다 대수 의미론 연구에서 동기를 얻어 컴퓨터 과학에 응용된다. - 고정점 -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는 콤팩트 볼록 집합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연속 함수는 반드시 고정점을 가진다는 정리로, 다양한 공간에서 여러 형태로 표현되며 함수해석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내시 균형 | |
---|---|
게임 이론 | |
유형 | 비협조적 게임 |
솔루션 개념 | 비협조적 게임 |
발견자 | 존 포브스 내시 주니어 |
사용 분야 | 모든 비협조적 게임 |
하위 집합 | 합리화 가능성 엡실론-균형 상관 균형 |
상위 집합 |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부분 게임 완전 균형 완전 베이즈 균형 떨리는 손 완전 균형 안정적인 내시 균형 강력한 내시 균형 |
2. 역사
내시 균형은 미국의 수학자 존 내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개념은 1838년 오귀스탱 쿠르노의 과점 이론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3] 쿠르노는 기업들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생산량을 결정할 때, 각 기업의 최적 생산량은 다른 기업의 생산량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보였다. 각 기업의 생산량이 다른 기업의 생산량을 고려하여 이윤을 극대화하는 지점에서 쿠르노 균형이 발생하며, 이는 순수 전략 내시 균형의 한 예이다. 쿠르노는 또한 균형 안정성 분석에 최적 반응 개념을 도입했다.
내시 균형은 게임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모든 플레이어가 상대방의 전략을 알고 있고, 그 전제 하에 자신의 최적 전략을 선택했을 때, 어느 누구도 일방적으로 전략을 바꿔서 더 이득을 볼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존 폰 노이만과 오스카 모르겐슈테른은 1944년 저서 《게임 이론과 경제 행동》에서 혼합 전략 개념을 도입했다. 혼합 전략은 플레이어가 가능한 여러 전략에 대해 확률 분포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폰 노이만과 모르겐슈테른의 분석은 제로섬 게임에 국한되었다. 그들은 유한한 행동 집합을 가진 모든 제로섬 게임에서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이 존재함을 보였다.[14]
1951년, 존 내시는 논문 "비협조적 게임"을 통해 유한한 행동 집합을 가진 모든 게임에 대해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을 정의하고, 그러한 게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시 균형이 반드시 존재함을 증명했다.[15] 내시는 카쿠타니 고정점 정리(1950년 논문)와 브라우어 고정점 정리(1951년 논문)를 사용하여 균형의 존재를 증명했다.[15] 내시에 따르면, "균형점은 각 플레이어의 혼합 전략이 다른 플레이어의 전략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그들의] 보수를 극대화하는 n-튜플이다."
이후 게임 이론가들은 내시 균형이 때때로 비현실적인 예측을 하거나, 유일한 예측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신뢰성 없는 위협에 기반한 균형을 배제하기 위한 부분 게임 완전 균형(1965년, 라인하르트 젤텐) 등 다양한 개선된 해결 개념들이 제시되었다. 내시 균형 개념은 반복 게임, 불완전 정보 게임 등으로 확장되었지만, 핵심 아이디어는 "각 플레이어의 전략이 다른 플레이어의 선택에 대해 최적"이라는 점에 기반한다.
3. 정의
비공식적 정의:쉽게 말하면, 각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들의 전략을 알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내가 전략을 바꾸면 더 이득을 볼 수 있을까?"라고 스스로에게 질문했을 때, "아니오"라고 답할 수 있는 상태가 내시 균형이다.[16] 즉, 모든 플레이어가 현재 전략에 만족하고 굳이 바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상황이다.
공식적 정의:조금 더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내시 균형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이 공식은 어떤 플레이어 도 자신의 전략을 에서 다른 전략 로 바꿔도 이익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위의 부등식에서 등호가 성립하지 않고 항상 부등호(>)가 성립하면, 즉 모든 플레이어가 현재 전략에서 벗어나면 무조건 손해를 보는 경우에는 강한 내시 균형(strict Nash equilibrium)이라고 한다. 반대로, 어떤 플레이어에게는 현재 전략과 동일한 이익을 주는 다른 전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약한 내시 균형(weak Nash equilibrium)이라고 한다.
핵심:3. 1. 순수 전략 내시 균형
순수 전략 게임은 참가자(플레이어)가 확률을 사용하지 않고 특정한 전략을 선택하는 게임이다.
예를 들어, 다음 표는 두 플레이어 Pa와 Pb가 각각 전략(A1 또는 A2)과 (B1 또는 B2)를 선택할 수 있을 때, 각각의 이득을 나타낸다. 나란히 적힌 숫자의 왼쪽은 Pa의 이득, 오른쪽은 Pb의 이득이다.
Pa/Pb | B1 | B2 |
A1 | 5, 2 | 2, 4 |
A2 | 4, 6 | 1, 6 |
먼저 Pa의 이득에 주목하면, Pb가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 Pa는 A1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더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관계가 성립할 때, A1은 강지배 전략이라고 표현한다. '''지배'''한다는 것은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다른 전략을 선택하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Pb의 이득에 주목하면, Pa가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 B2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B1 전략보다 더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Pa가 A2 전략을 선택한 경우에는 B1과 B2는 동등해지므로, 이러한 관계일 때 B2는 약지배 전략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Pa에게 최적 전략은 A1, Pb에게 최적 전략은 B2가 되며, 둘 다 여기서 전략을 변경해도 이득은 감소한다. 이 조합 (A1, B2)가 '''지배 전략 균형'''이 된다.
Pa, Pb가 (A1, B2)라는 전략을 선택한 경우, Pa는 전략을 변경하여 A2를 선택하면 이득이 2에서 1로 감소하므로, 전략을 변경할 유인이 없다. 마찬가지로 Pb도 전략을 변경하여 B1을 선택하면 이득이 4에서 2로 감소하므로, 전략을 변경할 유인이 없다. 따라서 이 예에서 지배 전략 균형은 내시 균형이다.
한편, Pa, Pb가 (A2, B1)이라는 전략을 선택했을 때의 이득은 (4, 6)이 되며, 내시 균형에서의 이득과 비교하여 Pa, Pb 모두 더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Pa가 더 큰 5의 이득을 얻기 위해 A1으로 전략을 변경할 유인을 가지므로, 내시 균형이 아니다. 즉, 이 게임은 죄수의 딜레마 게임이다. 또한, (A1, B2)에서 (A2, B1)으로의 전략 변경은 파레토 개선이며, 내시 균형 (A1, B2)은 파레토 효율적이지 않다.
상대방의 전략에 따라 어떤 전략이 가장 큰 이득을 내는지가 변하는 경우, 다른 모든 전략을 지배할 수 있는 전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다른 전략에 의해 지배되는 전략(피지배 전략)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남은 전략의 조합을 지배 전략 균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지배 전략에 의해 내시 균형이 정의될 수 있는 경우, 이는 제거에 의해 정의된 것과 일치한다.
Pa/Pb | B1 | B2 | B3 |
A1 | 5, 2 | 2, 4 | 4, 0 |
A2 | 4, 6 | 3, 6 | 2, 5 |
A3 | 3, 3 | 1, 2 | 7, 2 |
B3는 B2에 의해 지배되므로, B3를 제거한다.
Pa/Pb | B1 | B2 |
A1 | 5, 2 | 2, 4 |
A2 | 4, 6 | 3, 6 |
A3 | 3, 3 | 1, 2 |
A3는 A2에 의해 지배되므로 A3를 제거한다.
Pa/Pb | B1 | B2 |
A1 | 5, 2 | 2, 4 |
A2 | 4, 6 | 3, 6 |
B1은 B2에 의해 지배되므로 B1을 제거한다.
Pa/Pb | B2 |
A1 | 2, 4 |
A2 | 3, 6 |
지배 전략 균형은 (A2, B2)이다.
다른 플레이어의 전략에 관계없이 최대 이익을 가져다주는 전략의 조합(지배 전략 균형)과 지배 전략의 순차적 소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략의 조합은 같지만, 게임 설정에 따라 앞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으로는 균형을 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내시 균형의 정의에 따르면 다른 플레이어의 전략을 '''최적 반응'''이라고 가정하고 자신의 최적 반응을 구하면 되므로, 지배 전략 균형이 존재하지 않는 순수 전략 게임에서도 내시 균형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3×3 표준형 게임의 (A1, B3)의 이익을 (4, 0)에서 (4, 5)로 변경하면 어떤 전략도 순차적으로 소거되지 않아 지배 전략 균형을 구할 수 없다.
Pa/Pb | B1 | B2 | B3 |
A1 | 5, 2 | 2, 4 | 4, 5 |
A2 | 4, 6 | 3, 6 | 2, 5 |
A3 | 3, 3 | 1, 2 | 7, 2 |
하지만 상대의 전략을 주어진 것으로 가정했을 때 최대 이익을 가져다주는 전략(최적 반응)을 조합해 가면, 유일하게 (A2, B2)가 최적 반응의 조합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게임에는 '''순수 전략 내시 균형'''이 한 쌍 존재한다.
3. 2. 혼합 전략 내시 균형
플레이어들이 여러 전략을 특정한 확률로 섞어서 사용하는 게임에서의 내시 균형을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이라고 한다. 이는 각 플레이어의 행동 확률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동전 맞추기 게임에서 각 플레이어가 앞면(H) 또는 뒷면(T)을 낼 확률이 각각 1/2인 경우가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이다.[16]내시는 유한한 플레이어와 전략을 가진 모든 게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이 존재함을 증명했다.[25] 내시의 증명은 브라우어르의 고정점 정리나 카쿠타니 고정점 정리를 사용한다.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전략에 대해 해당 전략을 선택할 확률을 나타내는 변수를 할당한다. 플레이어가 무작위화를 하려면 각 전략에 대한 기대 보수가 같아야 한다. 또한, 각 전략에 대한 확률의 합은 1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통해 각 전략을 선택할 확률을 도출하는 방정식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16]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동전 맞추기 게임을 생각해 보자.
전략 | B가 H를 냄 | B가 T를 냄 |
---|---|---|
A가 H를 냄 | −1, +1 | +1, −1 |
A가 T를 냄 | +1, −1 | −1, +1 |
A가 H를 낼 확률을 , T를 낼 확률을 로, B가 H를 낼 확률을 , T를 낼 확률을 로 지정하면, 각 플레이어의 기대 보수를 계산하여 , 라는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을 얻을 수 있다.[16]
혼합 전략 게임은 참가자가 행동을 확률적으로 선택하여 내시 균형에 도달하는 비협력 게임이다. 이러한 게임에서는 순수 전략 내시 균형이 반드시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내시 균형은 각 참가자의 행동 확률 조합으로 표시된다.
4. 내시 균형의 유형
어떤 플레이어도 자신의 전략을 일방적으로 변경하여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을 때의 전략 프로파일을 내시 균형이라고 한다. 모든 플레이어가 변경하지 않기를 선호하거나 변경 여부에 대해 무관심하다면 해당 전략 프로파일은 내시 균형이 된다.[16]
내시 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엄격한 내시 균형 (Strict Nash Equilibrium): 모든 플레이어의 답변이 "그렇다"인 경우, 즉 모든 플레이어가 현재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인 경우이다.[17]
:::::
- 약한 내시 균형 (Weak Nash Equilibrium): 어떤 플레이어에게는 현재 전략과 동일한 보상을 주는 다른 전략이 존재하는 경우, 즉 플레이어가 전략 변경에 무관심한 경우이다.
:::::
- 강한 내시 균형 (Strong Nash Equilibrium): 모든 가능한 연합의 이탈을 허용한다.[18] 형식적으로, 강한 내시 균형은 보완 연합의 행동을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여 어떤 연합도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협력적으로 이탈할 수 없는 내시 균형이다.[19]
- 연합 방지 내시 균형 (CPNE)[18]: 참여자들이 소통하고 "자체 시행" 합의를 통해 이탈할 수 있도록 허용하더라도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
- 부분 게임 완전 내시 균형 (Subgame Perfect Nash Equilibrium): 내시 균형 외에도 해당 게임의 모든 부분 게임에서 해당 전략이 내시 균형을 이루도록 요구한다. 이는 모든 비현실적 위협을 제거한다.
- 혼합 전략 내시 균형 (Mixed Strategy Nash Equilibrium): 혼합 전략 게임이란, 참가자가 행동을 확률적으로 선택하는 전략을 취함으로써 내시 균형에 도달하는 비협력 게임을 말한다.
예를 들어, 두 명의 플레이어 Pa 와 Pb가 각각 두 개의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게임을 생각해보자. Pa는 상대(Pb)가 확률 q로 B1을 선택하고, Pb는 상대(Pa)가 확률 p로 A1을 선택한다고 예상한다고 가정한다.
Pa/Pb | ! B1 확률 q | ! B2 확률 (1 - q) |
---|---|---|
A1 확률 p | 1, 2 | 0, 0 |
A2 확률 (1 - p) | 0, 0 | 2, 1 |
이 게임에서 각 플레이어의 최적 반응을 그래프로 나타내면(균형 경로), 혼합 전략 내시 균형은 균형 경로의 교차점이 된다. 따라서 혼합 전략 내시 균형에서 Pa는 (1/3, 2/3)을 선택하고, Pb는 (2/3, 1/3)을 선택한다. 이러한 형태의 게임은 양성의 싸움이라고 불린다.
5. 응용
내시 균형은 현실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복잡한 의사 결정 상황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경제:''' 과점 시장에서의 기업 간 경쟁, 경매 방식 설계, 협상 전략, 공공재 공급, 환경 규제, 국제 무역 협정 등 다양한 경제 현상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예를 들어, 오귀스탱 쿠르노는 1838년 과점 이론에서 기업들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생산량을 결정할 때 내시 균형 개념을 사용했다.[13] 각 기업의 최적 생산량은 다른 기업의 생산량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상호 의존성을 고려하여 균형점을 찾는다.
- '''정치:''' 선거, 정당 간 경쟁, 정책 결정, 국제 관계, 군비 경쟁 등 정치적 상황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적대적인 상황에서 전쟁이나 군비 경쟁(죄수의 딜레마)을 분석하고,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갈등을 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하다.
- '''사회:''' 교통 체증, 네트워크, 사회적 규범 형성, 젠더 갈등 등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교통 흐름(워드롭의 원리)을 분석하여 최적의 교통 시스템을 설계하거나, 사회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슴 사냥 게임을 통해 협력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 '''스포츠:''' 축구의 승부차기, 경기 전략 등 스포츠 경기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 '''기타:''' 생물학,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 군중 속의 로봇 내비게이션, 에너지 시스템, 운송 시스템, 대피 문제,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다음은 내시 균형의 개념이 적용된 구체적인 사례들이다.
- '''조정 게임''': 두 명의 플레이어가 서로 다른 전략을 선택할 때, 두 플레이어 모두에게 최선의 결과가 나오는 균형이 존재하는 게임이다. 예를 들어, 운전할 때 도로의 왼쪽이나 오른쪽 중 하나를 선택하는 상황이 이에 해당한다. 양쪽 운전자가 모두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운전하는 경우 두 개의 순수 전략 내시 균형이 존재한다.
왼쪽으로 운전 | 오른쪽으로 운전 | |
---|---|---|
왼쪽으로 운전 | 10, 10 | 0, 0 |
오른쪽으로 운전 | 0, 0 | 10, 10 |
- '''사슴 사냥 게임''': 사회적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게임으로, 두 명의 사냥꾼이 사슴 사냥과 토끼 사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사슴 사냥은 더 큰 보상을 제공하지만, 두 사냥꾼이 협력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 반면, 토끼 사냥은 혼자서도 가능하지만 보상이 적다. 이 게임에는 (사슴, 사슴)과 (토끼, 토끼) 두 개의 내시 균형이 존재한다.
사슴 사냥 | 토끼 사냥 | |
---|---|---|
사슴 사냥 | 2, 2 | 0, 1 |
토끼 사냥 | 1, 0 | 1, 1 |
- '''경쟁 게임''': 두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숫자를 선택하고, 더 작은 숫자를 선택한 플레이어가 점수를 얻는 게임이다. 만약 한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보다 큰 숫자를 선택하면 상대방에게 2점을 줘야 한다. 이 게임은 (0, 0)이라는 유일한 순수 전략 내시 균형을 갖는다.
0 | 1 | 2 | 3 | |
---|---|---|---|---|
0 | 0, 0 | 2, -2 | 2, -2 | 2, -2 |
1 | -2, 2 | 1, 1 | 3, -1 | 3, -1 |
2 | -2, 2 | -1, 3 | 2, 2 | 4, 0 |
3 | -2, 2 | -1, 3 | 0, 4 | 3, 3 |
6. 한국 사회에의 적용 및 중도진보적 관점
내시 균형 개념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강한 내시 균형은 모든 가능한 연합의 이탈을 허용하는 개념이다.[18] 이는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협력적 이탈이 불가능한 내시 균형을 의미한다.[19] 그러나 무제한적 사적 의사소통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너무 "강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며, 파레토 효율성을 가져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게임 이론에서 유용하게 쓰이기 어렵다.
연합 방지 내시 균형(CPNE)은 참여자들이 소통과 자체 시행 합의를 통해 이탈을 허용해도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18] 이는 반복적인 엄격한 우월성에 의해 지원되고 파레토 경계에 있는 모든 상관된 전략이 해당된다.[20] CPNE는 코어 이론과 관련이 있다.
6. 1. 정치
내시 균형은 정치 분야에서도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여야 대립: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각 당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하며, 이는 종종 극한 대립으로 이어진다. 이는 일종의 내시 균형으로 볼 수 있지만, 사회 전체적으로는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선거 제도: 현행 선거 제도는 거대 양당 구도를 고착화시키고,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하는 내시 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남북 관계: 남북 관계는 상호 불신과 적대감이 깊게 자리 잡은 일종의 '죄수의 딜레마'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화와 협력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내시 균형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6. 2. 경제
Nash equilibrium영어은 개별 참여자의 이탈 측면에서만 안정성을 정의한다. 협동 게임에서 이러한 개념은 충분히 설득력이 없다. 강한 내시 균형은 모든 가능한 연합의 이탈을 허용한다.[18] 형식적으로, 강한 Nash equilibrium영어은 보완 연합의 행동을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여 어떤 연합도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협력적으로 이탈할 수 없는 Nash equilibrium영어이다.[19] 그러나 강한 내시 개념은 무제한적인 사적 의사 소통이 허용된다는 점에서 때때로 너무 "강하다"고 인식된다. 실제로 강한 Nash equilibrium영어은 파레토 효율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의 결과로, 강한 내시는 게임 이론의 많은 분야에서 유용하기에는 너무 드물다. 그러나 가능한 결과보다 훨씬 더 많은 참여자가 있는 선거와 같은 게임에서는 안정적인 균형보다 더 흔할 수 있다.연합 방지 내시 균형(CPNE)[18]으로 알려진 정제된 Nash equilibrium영어은 참여자들이 소통하고 "자체 시행" 합의를 통해 이탈할 수 있도록 허용하더라도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 반복적인 엄격한 우월성에 의해 지원되고 파레토 경계에 있는 모든 상관된 전략은 CPNE이다.[20] 또한 게임은 지정된 크기 k보다 작은 연합에 대해 탄력적인 Nash equilibrium영어을 가질 수 있다. CPNE는 코어 이론과 관련이 있다.
내시는 각 플레이어가 유한한 수의 혼합 전략(플레이어가 다양한 순수 전략 사용 확률을 선택하는 경우)을 사용할 수 있는 유한한 수의 플레이어가 있는 모든 게임은 각 플레이어의 순수 전략이거나 각 플레이어의 전략에 대한 확률 분포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Nash equilibrium영어을 갖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선택 집합이 무한하고 콤팩트하지 않으면 Nash equilibrium영어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 두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숫자를 지정하고 더 큰 숫자를 지정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게임은 선택 집합이 무제한이므로 콤팩트하지 않아 Nash equilibrium영어을 갖지 않는다.
- 두 플레이어는 각각 5보다 엄격하게 작은 실수를 선택하고 승자는 가장 큰 숫자를 가진 사람이 된다. 5보다 엄격하게 작은 가장 큰 숫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숫자가 5와 같을 수 있다면 Nash equilibrium영어은 두 플레이어가 5를 선택하고 게임을 비기는 것이다). 여기서 선택 집합은 닫혀 있지 않기 때문에 콤팩트하지 않다.
그러나 선택 집합이 모든 플레이어의 전략에서 각 플레이어의 보상이 연속적인 콤팩트이면 Nash equilibrium영어이 존재한다.[21]
6. 3. 사회
한국 사회의 젠더 갈등은 남성과 여성 간의 상호 불신과 대립이 심화된 내시 균형 상태로 볼 수 있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성 평등 정책 강화, 상호 존중과 이해 증진,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이러한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고 본다. 청년 세대와 기성 세대 간의 세대 갈등은 일자리, 주거,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며, 이 역시 내시 균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년 세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세대 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7. 한계 및 비판
내시 균형은 현실을 단순화하여 설명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인간의 비합리성, 정보의 불완전성, 그리고 외부 효과 등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플레이어가 "예"를 선호한다면, 해당 전략 집합은 내시 균형이 아니다. 그러나 모든 플레이어가 전략 변경을 원하지 않거나 변경에 무관심하다면 그 전략 프로파일은 내시 균형이 된다. 즉, 내시 균형의 각 전략은 해당 균형에서 다른 플레이어들의 전략에 대한 최적 반응이다.[16]
내시 균형은 개별 참여자의 이탈에 대해서만 안정성을 정의하기 때문에, 협동 게임에서는 충분히 설득력 있는 개념이 아니다. 강한 내시 균형은 모든 가능한 연합의 이탈을 허용한다.[18] 강한 내시 균형은 보완 연합의 행동을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어떤 연합도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협력적으로 이탈할 수 없는 내시 균형이다.[19] 그러나 강한 내시 개념은 무제한적인 사적 의사 소통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너무 "강하다"고 인식되기도 한다. 실제로 강한 내시 균형은 파레토 효율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 때문에, 강한 내시는 게임 이론의 많은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이기에는 너무 드물다.
연합 방지 내시 균형(CPNE)은 참여자들이 소통하고 "자체 시행" 합의를 통해 이탈할 수 있더라도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을 때를 말한다. 반복적인 엄격한 우월성에 의해 지원되고 파레토 경계에 있는 모든 상관된 전략은 CPNE이다.[20] CPNE는 코어 이론과 관련이 있다.
내시 균형이 항상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죄수의 딜레마에서 볼 수 있듯이, 내시 균형은 파레토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내시 균형은 순차 게임에서 비합리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플레이어들이 실제로 실행하지 않을 위협으로 서로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게임에서는 부분 게임 완전 내시 균형이 더 의미 있는 분석 도구가 될 수 있다.
부분 게임 완전 내시 균형은 내시 균형의 상위 집합이다. 부분 게임 완전 균형은 내시 균형 외에도 해당 게임의 모든 부분 게임에서 해당 전략이 내시 균형을 이루도록 요구한다. 이는 모든 비현실적 위협을 제거한다. 즉, 상대방이 전략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해 비합리적인 움직임을 포함하는 전략은 제거된다.
위 그림은 부분 게임 불완전 내시 균형 문제를 설명하는 간단한 순차 게임을 보여준다. 플레이어 1은 왼쪽(L) 또는 오른쪽(R)을 선택하고, 플레이어 2는 플레이어 1에게 친절(K)하거나 불친절(U)하게 대하도록 요구받는다. 플레이어 2는 플레이어 1이 왼쪽으로 갔을 때만 불친절하게 대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플레이어 1이 오른쪽으로 가면 합리적인 플레이어 2는 해당 부분 게임에서 그에게 친절하게 대할 것이다. 그러나 2(2)에서 불친절하게 굴려는 비현실적 위협은 여전히 파란색 (L, (U,U)) 내시 균형의 일부이다. 따라서 양 당사자가 합리적인 행동을 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면, 동적 비일관성이 발생할 때 부분 게임 완전 내시 균형이 더 의미있는 해결 개념이 될 수 있다.
안정성 개념은 다양한 종류의 균형 분석에 유용하며, 내시 균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혼합 전략 게임의 내시 균형은 한 플레이어의 확률에 작은 변화가 발생했을 때 다음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안정적이다.
# 변화하지 않은 플레이어는 새로운 상황에서 더 나은 전략을 가지고 있지 않다.
# 변화한 플레이어는 이제 엄격하게 더 나쁜 전략으로 플레이하고 있다.
현실에서는 균형이 쉽게 깨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8. 결론
내시 균형은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 비합리적인 결과: 내시 균형이 반드시 파레토 최적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순차 게임에서는 비합리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플레이어들이 실제로 실행하지 않을 위협으로 서로를 "위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안정성 문제: 협동 게임에서 내시 균형은 충분히 설득력이 없을 수 있다. 강한 내시 균형은 모든 연합의 이탈을 허용하지만, 지나치게 "강한" 조건으로 인해 실제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 존재성 문제: 선택 집합이 무한하고 콤팩트하지 않으면 내시 균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플레이어가 숫자를 동시에 지정하고 더 큰 숫자를 지정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게임은 내시 균형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부분 게임 완전 균형과 같은 개선된 해결 개념들이 제안되었지만, 여전히 내시 균형의 기본적인 통찰력(각 플레이어의 전략은 다른 플레이어의 선택에 대해 최적)을 공유한다.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시 균형 개념을 비판적으로 적용하고, 더 나은 균형점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사회적 형평성, 지속 가능성, 협력 등을 고려하여 내시 균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A Course in Game Theory
MIT
1994-07-12
[2]
간행물
Nash Equilibrium
Palgrave Macmillan
1987
[3]
논문
Equilibrium points in n-person games
[4]
서적
The Strategy of Conflic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 copyright 1960, 1980로 되어있으나, 출판일을 1980으로 통일함.
[5]
논문
Must Try Harder: Evaluating the Role of Effort in Educational Attainment
[6]
논문
Game Theory and the Politics of Global Warming: The State of Play and Beyond
[7]
논문
Risks and benefits of catching pretty good yield in multispecies mixed fisheries
[8]
웹사이트
Marketing Lessons from Dr. Nash - Andrew Frank
http://blogs.gartner[...]
2015-05-25
[9]
논문
Testing Mixed-Strategy Equilibria when Players Are Heterogeneous: The Case of Penalty Kicks in Soccer
http://pricetheory.u[...]
[10]
논문
Mixed-Strategy Nash Equilibrium for Crowd Navigation
2024
[11]
논문
A Mean-Field Game of Evacuation in Multilevel Building
[12]
논문
Mean-Field-Type Games in Engineering
2017-09-27
[13]
서적
Researches on the Mathematical Principles of the Theory of Wealth
[14]
서적
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논문
On the Existence of Pure Strategy Nash Equilibria in Large Games
http://fesrvsd.fe.un[...]
[16]
웹사이트
Preliminaries of Game Theory
http://www.scienceof[...]
[17]
웹사이트
Nash Equilibria
http://hoylab.cornel[...]
[18]
논문
Coalition-Proof Equilibria I. Concepts
[19]
서적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Ga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논문
Coalition-Proof Equilibrium
http://e-archivo.uc3[...]
[21]
웹사이트
Lecture 6: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Games
https://ocw.mit.edu/[...]
MIT OpenCourseWare
[22]
논문
Existence and Uniqueness of Equilibrium Points for Concave N-Person Games
https://www.jstor.or[...]
[23]
서적
Game Theory
http://www.cdam.lse.[...]
Texas A&M University, London School of Economics
[24]
서적
Learning to Play Cournot Duoploy Strategies
http://excen.gsu.edu[...]
Texas A&M University, University of Arizona
[25]
서적
Game Theory
MIT Press
[26]
논문
Computing Equilibria of N-Person Games
https://epubs.siam.o[...]
1971-07-01
[27]
논문
Oddness of the Number of Equilibrium Points: A New Proof
https://doi.org/10.1[...]
197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